본문 바로가기
영어공부

[BBC 6mins English] Are you unhappy at work?/ mp3 음원 / 대본 pdf / 한글해석

by 흥청 2023. 12. 11.
728x90

안녕하세요. 오늘의 BBC 영어 공부입니다.

 

Are you unhappy at work?
직장에서 행복하지 않으신가요?

 

 

음원과 대본은 아래 첨부해두었으니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받아주세요.

* 한글 해석본은 내용 이해를 위한 참고용으로만 사용해주세요.

 

230817_6_minute_english_unhappy_at_work_download.mp3
5.89MB
230817_6_minute_english_unhappy_at_work.pdf
0.13MB

 

[오늘의 단어]

 

burnout 번아웃
lack of energy or enthusiasm because of working too hard

 

deadline 마감시간
the time or date by which a particular job must be finished 

 

to be breathing down someone’s neck 참견하다
(idiom) to watch someone very closely and check everything they do

 

presenteeism 장시간 근무
staying at work longer than usual, or going to work when you are ill, to show that you work hard and are important to your employer

 

work-life balance 일과 삶의 균형
the amount of time you spend doing your job compared with the amount of time you spend relaxing with your family and doing things you enjoy

 

win-win 상생의
a situation or result that is good for everyone involved

 

 


[Are you unhappy at work? 한글 해석본]

 

Neil
Hello. This is 6 Minute English from BBC Learning English. I’m Neil.

 

안녕하세요. BBC Learning English입니다. 닐입니다.

 

Beth
And I’m Beth.

 

그리고 전 베스에요.

 

Neil
Beth, have you ever had a horrible boss, not been paid enough, or simply got tired of doing the same old boring job?

 

베스, 당신은 끔찍한 상사를 만나거나, 충분한 보수를 받지 못했거나, 그저 지루한 일을 하는 것에 싫증이 난 적이 있나요?

 

Beth
I love presenting Six Minute English – of course, but some of my previous jobs have been pretty awful, Neil. When I waitressed in cafes I was on my feet ten hours a day – it was exhausting!

 

물론 나는 Six Minute English를 발표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하지만 이전 직업 중 일부는 꽤 형편없었어요, Neil. 카페에서 웨이트리스로 일할 때 하루에 10시간씩 서서 일했는데 정말 지쳤어요!

 

Neil
Most people have had bad work experiences at one time or another - maybe a job that was boring, badly paid, or just working too much and getting burned out – lacking energy or enthusiasm because of working too hard.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런 저런 나쁜 일을 경험해 본 적이 있습니다 - 아마도 지루하고, 보수를 제대로 받지 못하거나, 일을 너무 많이 해서 지치고, 지치게 되는 일 - 너무 열심히 일해서 에너지나 열정이 부족한 일일 것입니다.

 

Beth

But does work have to be like this? Since most of our waking day is spent at work, how can we make sure our job doesn’t make us unhappy? That's what we'll be discussing in this programme, and, as usual, will be learning some useful new vocabulary as well.

 

하지만 일이 꼭 이런 식이어야만 하나요? 깨어있는 하루의 대부분을 직장에서 보내므로, 어떻게 하면 직장이 우리를 불행하게 만들지 않게 할 수 있을까요? 이것이 이 프로그램에서 논의할 내용이고, 여느 때처럼, 유용한 새로운 어휘도 배울 것입니다.

 

Neil
Sounds good, Beth, but first I have a question for you. The worst job I ever had was the summer I spent working as a portable toilet cleaner at music festivals, but according to a recent survey by Forbes magazine, what was voted the worst job in the UK? Was it:

a)     a call centre worker?
b)     a bartender?       or,
c)     a traffic warden?

 

좋아요, 베스, 하지만 먼저 당신에게 질문이 있어요. 제가 했던 최악의 직업은 음악 축제에서 휴대용 변기 청소부로 일하며 보낸 여름이었는데, 포브스지의 최근 설문조사에 의하면, 영국에서 가장 나쁜 직업으로 뽑힌 것은 무엇일까요:
a) 콜센터 직원?
b) 바텐더? 아니면,
c) 교통 관리인?

 

Beth
I think the answer might be a call centre worker.

 

아마 콜센터 직원이 답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합니다.

 

Neil
OK, Beth, I'll reveal the answer later in the programme. Now, it's interesting that survey was carried out in the UK, because being unhappy at work could be related to the British working culture which emphasizes working at a fast pace. Here’s Damian Grimshaw, a Professor of Employment Studies at King's College, London, speaking with BBC Radio 4 programme, Analysis:

 

네, 베스, 답변은 나중에 프로그램에서 공개하겠습니다. 직장에서 불행하다는 것은 빠른 속도로 일하는 것을 강조하는 영국의 근로문화와 관련이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여기 런던 킹스칼리지의 고용학 교수인 데미안 그림쇼가 BBC 라디오 4 프로그램, '분석:

 

Professor Damian Grimshaw
Really it’s all about pace, cost efficiencies, meeting targets, deadlines… so this is why when people do surveys of what we call ‘work intensity’, so how hard you work, are you driven on pace?, is there a supervisor breathing down your neck?, we score really badly compared to European countries.

 

정말로 모든 것은 속도, 비용 효율성, 목표 달성, 마감에 관한 것입니다. 그래서 사람들이 소위 '업무 강도'라고 불리는 것에 대해 설문조사를 할 때, 여러분은 얼마나 열심히 일하는지, 여러분은 속도에 쫓기고 있나요? 여러분의 목을 조르는 감독자가 있나요? 우리는 유럽 국가들에 비해 매우 나쁜 점수를 받습니다.

 

Beth
Compared to some European countries, British workers have to meet more targets and deadlines - a time or date by which a particular job must be finished.

 

일부 유럽 국가들과 비교해 볼 때, 영국 근로자들은 특정한 일을 끝내야 하는 시간이나 날짜인 더 많은 목표와 마감일을 맞춰야 합니다.

 

Neil
The pressure to work quickly means you might have your boss breathing down your neck, an idiom meaning that someone is watching you very closely and checking everything you do… Not a nice feeling to have at work!

 

빨리 일해야 한다는 압박감은 당신의 상사가 당신을 감시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누군가가 당신을 매우 가까이에서 지켜보고 당신이 하는 모든 것을 확인한다는 의미의 관용구입니다. 직장에서 느끼기에 좋은 기분이 아닙니다!

 

Beth
That’s right. A good job is about more than pay and conditions, it's one that uses your talents, and gives you some choice over how and when you work. In 2022, Britain's biggest employer, the National Health Service or NHS, lost more than 15,000 nurses, many quitting because of the long and inflexible working hours.

 

맞아요. 좋은 직업은 급여와 조건 이상의 것이고, 여러분의 재능을 이용하는 것이고, 여러분이 어떻게 그리고 언제 일하는지에 대한 선택권을 줍니다. 2022년에, 영국의 가장 큰 고용주인 국민 건강 서비스 혹은 NHS는 15,000명 이상의 간호사를 잃었고, 길고 유연하지 못한 근무 시간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그만두었습니다.

 

Neil
Another sector with long working hours is the construction industry. Low paid, dirty and physically demanding, construction workers also risk high levels of work-related injury. Here, Emma Stewart, co-founder of social business, TimeWise, tells BBC Radio 4 programme, Analysis, about her trial project to help builders enjoy their jobs more:

 

긴 노동 시간을 가진 또 다른 분야는 건설업입니다. 저임금, 더럽고 육체적으로 힘든 건설 노동자들은 또한 높은 수준의 업무 관련 부상을 당할 위험이 있습니다. 여기, 소셜 비즈니스의 공동 설립자인 TimeWise의 Emma Stewart는 BBC 라디오 4 프로그램인 Analysis에 건설업자들이 자신의 일을 더 즐길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그녀의 시범 프로젝트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Emma Stewart
In the work that we've done within the construction industry, we have trialled what we would call an ‘output-based’ way of working, which means we shift away from this sense of presenteeism, this sense of: you are paid by the day, you are on site from seven in the morning until the last person leaves, maybe seven in the evening… to a ‘task-based’ way of working, which means: you are going to do five tasks over the course of this day. When you've done those tasks, and you've done them well, you can go home, but we will still pay you the same amount for the day. They were able to deliver the projects that we worked on with them on time, on budget, but critically the feedback from workers was that work-life balance scores doubled, and they were able to reduce the amount of overtime that they did - it's a win-win.

 

우리가 건설업계에서 해온 작업에서, 우리는 소위 '산출 기반'의 작업 방식을 시도해보았는데, 이것은 우리가 현재주의, 즉 현재주의에서 벗어남을 의미합니다. 여러분은 월급을 받고, 아침 7시부터 마지막 사람이 떠날 때까지 현장에 있습니다. 아마도 저녁 7시까지… 즉, 여러분은 이 시간 동안 다섯 가지 일을 하게 될 것입니다. 여러분이 그 일을 하고, 잘 해냈을 때, 여러분은 집에 갈 수 있지만, 우리는 여전히 여러분에게 하루 동안 같은 금액을 지불할 것입니다. 그들은 우리가 함께 작업한 프로젝트를 제때, 예산에 전달할 수 있었지만, 결정적으로 근로자들의 피드백은 일과 삶의 균형 점수가 두 배가 되고, 그들이 했던 초과 근무의 양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그것은 윈-윈입니다.

 

Beth
Emma describes the current working patterns using the word, presenteeism – staying at work longer than usual, or going to work when you’re ill, to show that you work hard. But this isn’t an effective way to work. Emma thinks a task-based approach is better, both at getting the job done, and for improving work-life balance - the amount of time you spend at work, compared with the amount of time you spend relaxing with your family, and doing things you enjoy. In other words, flexible working is a win-win – a situation that’s good for everyone involved.

 

엠마는 여러분이 열심히 일한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평소보다 더 오래 회사에 있거나 아플 때 회사에 가는 프리젠티즘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현재의 일하는 방식을 설명합니다. 하지만 이것은 일을 하는 효과적인 방법이 아닙니다. 엠마는 여러분이 가족과 함께 휴식을 취하는데 보내는 시간과 즐거운 일을 하는 것에 비해 일을 끝내는 것과 일과 삶의 균형을 개선하는 것 모두에서 업무 기반 접근법이 더 낫다고 생각합니다. 다시 말해서, 유연한 일은 윈-윈 입니다 – 이것은 관련된 모든 사람들에게 좋은 상황입니다.

 

Neil
Maybe more flexible working would help some of the jobs I mentioned earlier in my question, Beth - according to a recent Forbes magazine survey, what was voted the worst job in the UK?

 

좀 더 유연하게 근무하면 앞서 제가 질문에서 언급한 직업 중 일부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Beth. 최근 Forbes 잡지 설문 조사에 따르면 영국에서 최악의 직업으로 선정된 직업은 무엇입니까?

 

Beth
I guessed it was a job I've done myself - working in a call centre.

 

저는 그것이 콜센터에서 일하는 제 자신이 해온 일이라고 추측했습니다.

 

Neil
And that was… the correct answer, although I think my summer job cleaning toilets was even worse! Right, let's recap the vocabulary we've learned from this programme starting with burnout – lack of energy or enthusiasm because of working too hard.

 

그리고 그것이 정답이었습니다. 비록 제가 여름에 했던 화장실 청소는 더 나빴다고 생각하지만 말입니다! 자, 이 프로그램에서 배운 어휘를 너무 열심히 일해서 에너지가 부족하거나 열정이 없는 것부터 다시 요약해 봅시다.

 

Beth
A deadline is the time by which a particular job must be done.

 

마감은 특정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시간입니다.

 

Neil
If someone is breathing down your neck, they’re watching you very closely and checking everything you do.

 

만약 누군가가 당신의 목 아래에서 숨을 쉬고 있다면, 그들은 당신을 매우 가까이에서 지켜보고 당신이 하는 모든 것을 확인하고 있습니다.

 

Beth
Presenteeism means staying at work longer than usual to show your employer that you work hard and are important to them.

 

프리젠티즘은 당신이 열심히 일하고 그들에게 중요하다는 것을 당신의 고용주에게 보여주기 위해 평소보다 더 오래 일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Neil
Work-life balance is the amount of time spend doing your job, compared with the amount of time you spend doing things you enjoy.

 

일과 삶의 균형은 자신의 일을 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과 자신이 즐기는 일을 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의 양을 의미합니다.

 

Beth
And finally, a win-win is a situation or result that is good for everyone. Once again our six minutes are up. Join us again next time, but for now - get back to work! Goodbye!

 

그리고 마지막으로, 윈-윈은 모든 사람들에게 좋은 상황 또는 결과입니다. 다시 한번 우리의 6분이 다 되었습니다. 다음에 다시 우리와 함께 하지만 지금은 다시 일을 시작하세요! 안녕히 계세요!

 

Neil
Bye!

 

안녕!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