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공부

[BBC 6mins English] Invasive species: Why don't we eat them?/ mp3 음원 / 대본 pdf / 한글해석

by 흥청 2025. 2. 3.
728x90

안녕하세요. 오늘의 BBC 영어 공부입니다.

 

Invasive species: Why don't we eat them?
침입종: 왜 우리는 그것들을 먹지 않나요?

 

 

음원과 대본은 아래 첨부해두었으니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받아주세요.

* 한글 해석본은 내용 이해를 위한 참고용으로만 사용해주세요.

 

231207_6_minute_english_invasive_species_why_not_eat_them.pdf
0.11MB
231207_6_minute_english_invasive_species_why_not_eat_them_download.mp3
14.27MB

 

[ Invasive species: Why don't we eat them?  오늘의 단어]

 

resilient 회복력 있는
strong in the face of problems

 

withstand 견디다
resist stress or attacks

 

choke out 질식시키다
use up the resources something needs to survive

 

renowned 유명한
be well-known for being good at something

 

outreach 조직이 활동을 홍보하기 위해 하는 일
the work an organisation does to publicise their activities 

 

fisheries 어업
A site or organisation where fish are bred or caught commercially

 

Invasive species: Why don't we eat them?


[ Invasive species: Why don't we eat them?  한글 해석본]

 

Phil
Hello. This is 6 Minute English from BBC Learning English. I’m Phil.

 

안녕하세요. BBC 학습 영어의 6분짜리 영어입니다. 저는 필입니다.

 

Beth
And I’m Beth.

 

저는 베스입니다.

 

Phil
Today we’re going to be talking about an interesting approach to the problem of invasive species. When animals or plants are introduced to new areas, they can be dangerous for existing wildlife.

 

오늘은 침입종 문제에 대한 흥미로운 접근 방식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동물이나 식물이 새로운 지역에 도입되면 기존 야생동물에게 위험할 수 있습니다.

 

Beth
Tell me about it! Every time I plant something in my garden, squirrels dig it up. I’m getting really fed up with them.

 

말해봐요! 정원에 무언가를 심을 때마다 다람쥐들이 땅을 파요. 정말 지쳐요.

 

Phil
Have you tried eating them?

 

먹어보셨나요?

 

Beth
Sorry, what? Eat the squirrels?

 

뭐라고요? 다람쥐를 먹어요?

 

Phil
That’s right! One of the simplest ways to deal with invasive species is just to eat them. In this programme we’ll be hearing about initiatives in the UK and Belize that are trying to get people to improve things using their stomachs.

 

맞습니다! 침입종을 처리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 중 하나는 바로 먹는 것입니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영국과 벨리즈에서 사람들이 위장을 이용해 개선하도록 하는 계획에 대해 들어보겠습니다.

 

Beth
OK, but before that, I’ve got a question for you, Phil. Lionfish are aggressive predators which hunt over 50 different varieties of fish. To help them do this, their stomachs can expand, but by how much?

Is it:

a)    10 times its original size
b)    30 times or
c)    50 times

 

알겠어요, 하지만 그 전에 질문이 하나 있어요, 필. 라이온피쉬는 50가지 이상의 다양한 물고기를 사냥하는 공격적인 포식자입니다. 이를 돕기 위해 그들의 위장은 확장될 수 있지만 얼마나 확장될 수 있을까요?

a) 원래 크기의 10배
b) 30배 또는
c) 50배

 

Phil
Wow, those numbers all seem incredibly big – I mean it can’t be more than 10 times can it? 

 

와, 그 숫자들은 모두 엄청나게 커 보이네요 – 10배를 넘을 수는 없겠죠?

 

Beth
Well, I will reveal the answer later in the programme.

 

글쎄요, 답은 나중에 프로그램에서 공개하겠습니다.

 

Phil
Before that, let’s get back to your squirrel problem! There’ a restaurant in London that offers squirrel kebabs. They specialise in food made from invasive species, so if that’s not to your taste you could try Japanese knotweed beer.

This invasive plant has caused a lot of problems in the UK. But just why is it so damaging?   Host of BBC World Service Programme ‘People Fixing the World’ Myra Anubi explains:

 

그 전에 다람쥐 문제로 돌아가 봅시다! 런던에 다람쥐 케밥을 제공하는 레스토랑이 있습니다. 침입종으로 만든 음식을 전문으로 하는 레스토랑이므로 취향에 맞지 않는다면 일본 매듭 맥주를 마셔볼 수 있습니다. 이 침입 식물은 영국에서 많은 문제를 일으켰습니다. 하지만 왜 그렇게 해로운 걸까요? BBC 월드 서비스 프로그램 '세상을 고치는 사람들'의 진행자 미라 아누비가 설명합니다:

 

Myra Anubi
Japanese knotweed is an extremely invasive plant that arrived in Europe from Japan over a century ago, this super weed doesn't just grow fast. It has root systems that are so strong and resilient that they can withstand molten lava choke out surrounding plants and cause a lot of damage to buildings.

 

일본 매듭풀은 한 세기가 넘는 시간 전에 일본에서 유럽에 도착한 매우 침입적인 식물로, 이 슈퍼 잡초는 단순히 빠르게 자라는 것이 아닙니다. 뿌리 시스템이 매우 강하고 탄력적이어서 녹은 용암이 주변 식물을 질식시켜 건물에 많은 피해를 입힐 수 있습니다.

 

Phil
Myra tells us that Japanese knotweed is resilient. If something or someone is resilient then it means that it or they can resist attempts to stop them.

 

미라는 일본 매듭풀이 회복력이 있다고 말합니다. 어떤 것이나 누군가가 회복력이 있다는 것은 매듭풀이 회복력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막으려는 시도에 저항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Beth
And another word for ‘resist’ is withstand. If you can withstand an attack or damage then you don’t let it affect you. We heard that Japanese knotweed’s roots can withstand lava from a volcano.

 

그리고 '저항'의 또 다른 단어는 '견인'입니다. 공격이나 피해를 견딜 수 있다면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세요. 일본 매듭풀의 뿌리는 화산의 용암을 견딜 수 있다고 들었습니다.

 

Phil
We also heard that Japanese knotweed can ‘choke out’ other plants. By this we mean that it takes the space and the resources such as light and water that they need to survive.

 

우리는 또한 일본 매듭풀이 다른 식물을 '질식시킬 수 있다'고 들었습니다. 이는 일본 매듭풀이 생존하는 데 필요한 공간과 빛, 물과 같은 자원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Beth
And knotweed is not the only invasive species problem with a tasty solution. In Belize, since 2008 lionfish have had a massive impact on coral reefs and native wildlife. They can eat four times as much as native species. BBC World Service programme ‘People Fixing the World’ went to investigate. Here’s Marisol Amaya talking to Celso Sho from marine conservation NGO, ‘Blue Ventures’ about attempts by the Belizean government to get people to eat lionfish.

 

그리고 매듭풀만이 맛있는 해결책을 가진 침입종 문제는 아닙니다. 벨리즈에서는 2008년부터 사자고기가 산호초와 토종 야생동물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사자고기는 토종보다 4배나 많은 양을 먹을 수 있습니다. BBC 세계 서비스 프로그램 '세상을 고치는 사람들'이 조사에 나섰습니다. 마리솔 아마야가 벨리즈 정부가 사람들이 사자고기를 먹게 하려는 시도에 대해 해양 보존 NGO '블루 벤처스'의 셀소 쇼와 이야기를 나누고 있습니다.

 

Marisol Amaya
With a big campaign slogan ‘Eat the lion’, they got renowned chefs to prepare it in exotic ways to raise awareness that eating lionfish was both tasty and helping the environment.

 

'사자를 먹어라'라는 큰 캠페인 슬로건을 내걸고, 유명 셰프들이 사자고기를 먹는 것이 맛있고 환경에 도움이 된다는 인식을 높이기 위해 이국적인 방식으로 사자고기를 준비하도록 했습니다.

 

Celso Sho
We have developed awareness for the restaurants to purchase it. We had a lot of outreach trying to erm show fisheries, the general public how to remove the spine, then that allows them actually eat the meat from the fish.

 

우리는 식당들이 그것을 구매할 수 있도록 인식을 발전시켰습니다. 우리는 어업계와 일반 대중에게 척추를 제거하는 방법을 보여주고 그들이 실제로 생선의 고기를 먹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많은 홍보 활동을 했습니다.

 

Phil
We heard the Belizean government asked renowned chefs to prepare lionfish dishes. ‘Renowned’ means to be well-known for being very good at something.

 

벨리즈 정부가 유명 셰프들에게 사자고기 요리를 준비해 달라고 요청했다고 들었습니다. '유명하다'는 말은 무언가를 아주 잘한다는 것으로 유명하다는 뜻입니다.

 

Beth
Celso Sho talked about outreach work. Outreach is where an organisation brings their work to people through events or publicity.

 

셀소 쇼는 아웃리치 작업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아웃리치는 조직이 이벤트나 홍보를 통해 사람들에게 작업을 전달하는 것입니다.

 

Phi
Fisheries are either the business that breed and catch fish to sell, or the places where that happens.

 

어업은 물고기를 사육하고 잡는 사업이거나, 판매를 위해 물고기를 잡는 곳입니다.

 

Beth
So, in Belize people are being shown attractive ways to eat lionfish. And speaking of lionfish and eating, I think it’s time I revealed the answer to our quiz. I asked you by how much can a lionfish expand it’s stomach to eat more.

 

그래서 벨리즈에서는 사람들이 라이온피쉬를 먹는 매력적인 방법을 배우고 있습니다. 그리고 라이온피쉬와 먹는 것에 대해 말하자면, 이제 퀴즈의 정답을 공개할 때가 된 것 같아요. 라이온피쉬가 더 많이 먹기 위해 위장을 얼마나 확장할 수 있는지 물어봤어요.

 

Phil
And I thought it was 10 times.

 

저는 10배라고 생각했습니다.

 

Beth
But you were wrong unfortunately, a lionfish can actually make its stomach 30 times bigger. That might help to explain why they are a such a danger to native Belizean fish. OK, now let’s recap the vocabulary that we’ve looked at today. If something is resilient, then it’s very hard to damage.

 

하지만 안타깝게도 라이온피쉬는 실제로 배를 30배나 크게 만들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라이온피쉬가 벨리즈 토종 물고기에게 위험한 이유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자, 이제 오늘 살펴본 어휘를 요약해 보겠습니다. 회복력이 뛰어난 것이라면 손상시키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Phil
Yes, you could say that it can withstand a lot of damage – it can cope with it.

 

예, 많은 손상을 견딜 수 있으며 대처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Beth
If one plant chokes out another, then it takes away the resources needed to live.

 

한 식물이 다른 식물을 쪼아내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자원을 빼앗아갑니다.

 

Phil
If you are renowned for something, then you are famous for what you do.

 

당신이 어떤 일로 유명하다면, 당신은 당신이 하는 일로 유명합니다.

 

Beth
Outreach is how organisations bring their work to people.

 

아웃리치는 조직이 사람들에게 업무를 제공하는 방식입니다.

 

Phil
Fisheries are the companies that catch and sell fish or the places where they do it. That’s all we’ve got time for today, maybe you might want to see if there any invasive species near you that you might want to eat. See you next time!

 

수산업은 물고기를 잡고 판매하는 회사나 물고기를 판매하는 곳입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시간이 있으니 근처에 먹고 싶은 침입종이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다음에 뵙겠습니다!

 

Beth
Bye!

 

안녕!

728x90